
일반적으로 NAT 포트 포워딩 룰은 공유기 외부(네트워크 바깥)에서 공유기 내부(네트워크 내부)로 hostname 또는 라우터의 퍼블릭 주소를 통해서 사용됩니다. 하지만 공유기 내부(같은 로컬 네트워크 내)의 로컬 서버의 주소는 더 사용하기 쉬운 NAT 헤어핀 기능이 적용됩니다.
사용자의 컴퓨터와 웹 서버가 같은 공유기(로컬 네트워크)내에 있는 경우,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 같은 공유기(로컬 내트워크) 내에 있을 때나 그렇지 않을 때나 같은 서버명을 사용하도록 하는 기능으로 NAT loopback, NAT Hairpinning, NAT Reflection, NAT-on-a-Stick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.
* 일반적인 NAT의 구성 예 최신버전의 공유기들에서 대부분 지원되나, 우리나라 통신사들이 무상지원하는 공유기일부는 지원하지 못하는 기능입니다. 반드시 필요한 기능이라면 공유기를 바꾸시거나. 윈도우 호스트파일을 강제설정하셔야 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