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핑과 같은 패킷통신에서의 TTL은 DNS 에서 사용하는 TTL과 구분되어 사용됩니다. 패킷통신에서의 ‘TTL’은 Time To Live의 약자는 같으나,그 의미는 다소 다르게 사용됩니다.
대상 컴퓨터에 보낸 응답 요청 패킷이 네트워크에 살아서(live) 제 역할을 수행할 제한 시간을 의미하므로, 대상 컴퓨터 및 네트워크 상태와는 무관하며. TTL은 이론적으로 시간을 기준으로 산출되지만, 실제로는 네트워크 내 라우터(홉-hop)를 통과할 때마다 수치를 줄임으로써 패킷의 생존 시간을 측정하게 됩니다.
즉 라우터를 통과할수록 ping 패킷이 살아서 활동할 시간은 줄어들게 됩니다.아울러 각 운영체제마다 기본적으로
TTL 값이 지정되어 있어 이를 통해 대상 컴퓨터의 운영체제 종류와 버전도 짐작할 수 있습니다. 아래의 Default TTL Values in TCP/IP값을 참조하십시오.
OS Version "safe" tcp_ttl udp_ttl
AIX n 60 30
DEC Pathworks V5 n 30 30
FreeBSD 2.1R y 64 64
HP/UX 9.0x n 30 30
HP/UX 10.01 y 64 64
Irix 5.3 y 60 60
Irix 6.x y 60 60
Linux y 64 64
MacOS/MacTCP 2.0.x y 60 60
OS/2 TCP/IP 3.0 y 64 64
OSF/1 V3.2A n 60 30
Solaris 2.x y 255 255
SunOS 4.1.3/4.1.4 y 60 60
Ultrix V4.1/V4.2A n 60 30
VMS/Multinet y 64 64
VMS/TCPware y 60 64
VMS/Wollongong n 128 30
VMS/UCX y 128 128
MS WfW n 32 32
Windows 95 n 32 32
Windows NT 3.51 n 32 32
Windows NT 4.0 y 128 128 Windows 8/9/20 y 128 128
|
* Default TTL Values in TCP/IP값